간호사의 주사침 상해로 인해 발생한 봉와직염
작성자 정보
- jb0842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88 조회
- 목록
- 40대 여성, 간호사 주사 업무 중 환자 움직임으로 발생한 주사침 찔림 사고
- 주사침 상해 후 발적, 동통, 부종 발생 동반된 봉와직염 발생
본문
40대 여성 간호사에서 주사침 상해로 발생한 봉와직염 사례이다.
환자에게 주사를 놓던 도중 환자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왼쪽 손바닥에 주사침 상해 후 발적, 동통, 부종이 발생하여 근처 의원에 내원하였다. 봉와직염 의심되어 5일간 상처부위 소독 및 아목사실린 등 항생제 치료 후 현재 완치된 상태이다.
주사기를 많이 다루는 간호사들은 주사침 사고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있고 이로 인해 B형 간염, C형 간염, 에이즈, 봉와직염 등 여러 질병에 걸릴 위험 또한 증가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상사고 예방 안전주사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해를 입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사기를 이용한 투약시 의료인 뿐만 아니라 환자들도 함께 해야할 사항들에 대한 교육 및 안내 또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에서는 혈액매개질환 감염노출사고 시 감염관리 대응 지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환자에게 주사를 놓던 도중 환자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왼쪽 손바닥에 주사침 상해 후 발적, 동통, 부종이 발생하여 근처 의원에 내원하였다. 봉와직염 의심되어 5일간 상처부위 소독 및 아목사실린 등 항생제 치료 후 현재 완치된 상태이다.
주사기를 많이 다루는 간호사들은 주사침 사고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있고 이로 인해 B형 간염, C형 간염, 에이즈, 봉와직염 등 여러 질병에 걸릴 위험 또한 증가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상사고 예방 안전주사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해를 입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사기를 이용한 투약시 의료인 뿐만 아니라 환자들도 함께 해야할 사항들에 대한 교육 및 안내 또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에서는 혈액매개질환 감염노출사고 시 감염관리 대응 지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찔림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주사기구 사용
- 의료기관에서는 혈액매개질환 감염노출사고 시 감염관리 대응 지침 마련 필요
-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해를 입는 경우도 있어 환자에게 적절한 교육 및 안내 필요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