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옥외작업자에서 발생한 열경련
작성자 정보
- jb0842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건설근로자에게 발생한 열경련
- 열경련은 수의근 경련, 사지 동통, 발작적 경련 증상 발생
- 열경련 발생 시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고, 물과 염분의 보충 필요
본문
50대 남성으로 야외 건설 현장에서 근무 중이다. 내원 당일 오전 7시부터 오후 2시까지 강한 햇볕 아래에서 장시간 작업 후 전신 무력감과 사지 저림 증상이 나타났다. 이후 구토까지 동반되어 119를 통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응급실 도착 당시 환자는 의식은 명료했으나, 탈수와 전해질 이상을 동반한 열탈진으로 진단되었다. 검사 결과 급성 신손상과 고칼륨혈증도 함께 확인되었다.
온열질환이란 고온 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을 포함한 질병을 말한다. 매년 약 500~~800명 정도가 발생하며, 주로 5~9월(특히 폭염이 잦은 7~8월)에 옥외작업자 및 고온 환경 근로자(건설, 조경, 농림업 등)에게 자주 발생한다.
사업장은 작업 시작 전 체감온도 예보를 확인하고, 특히 체감온도가 31℃ 이상일 경우 다음 사항을 준비해야 한다.
① 그늘 확보
- 그늘막 또는 차광막(햇볕 완전 차단 재질)을 설치하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함.
- 의자, 돗자리, 음료수대 등 휴식 비품 비치
- 소음, 낙하물, 차량 통행 위험 없는 장소 선택, 가능하면 실내 휴게실 마련
② 음용수 제공
- 작업자들이 소량의 시원한 물을 규칙적으로 마시도록 충분히 준비함
③ 민감군 관리
- 온열질환 기왕력자, 만성질환자(고혈압, 당뇨, 신장질환 등), 고령자(65세 이상), 불침투성 작업복 착용자, 강도 높은 신체활동 근로자에 대한 관리 강화
온열질환 발생 시 질환 종류에 따른 증상과 현장 대응법은 다음과 같다.
① 열사병
- 주요증상 : 의식상실(또는 기절), 현기증, 두통, 경련 등의 전구증상, 뜨겁고 마른 피부, 체온 40℃ 이상
- 현장 대응 방법 : 즉시 119 신고 및 이송, 냉수 뿌리기, 선풍기, 얼음 마사지, 옷을 모두 벗김
② 열탈진
- 주요증상 : 두통, 구역감, 현기증, 무기력증, 갈증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③ 열경련
- 주요증상 : 수의근(의식적으로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근육)에 통증이 있는 경련 발생, 사지 동통, 발작적 경련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④ 열허탈
- 주요증상 : 전신권태, 탈진, 현기증, 의식상실(기절), 심박수 증가, 혈압 저하, 정상 체온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의식 없는 경우 의료기관 이송
⑤ 열피로
- 주요증상 : 구갈(목마름), 소변량 감소, 현기증, 사지의 감각이상, 보행곤란, 실신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의식 없는 경우 의료기관 이송
⑥ 열발진
- 주요증상 : 땀띠, 붉은 구진
- 현장 대응 방법 : 발생부위 냉각, 세척 후 건조
온열질환 의심자 발생 시, 아래의 단계에 따라 신속 대응한다.
① 의식 없는 경우
- 의식 확인(불응, 정상적 대답 불능, 전신 통증 호소 등)
- 즉시 119 신고
- 시원한 곳으로 이동, 옷 벗기고 몸 식히기
- 의료기관 이송
② 의식 있는 경우
- 의식 여부 확인
- 시원한 곳으로 이동, 옷 벗기고 몸 식히기
- 물 섭취 가능 여부 확인
- 물 마실 수 있으면 물과 염분 보충 (불가능 시 의료기관 이송)
- 회복되면 1~2시간 휴식 후 업무 복귀 또는 업무 종료 (회복 못할 경우 의료기관 이송)
<참고문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열사병 등 온열질환 예방 지침(KOSHA GUIDE H-219-2022)
응급실 도착 당시 환자는 의식은 명료했으나, 탈수와 전해질 이상을 동반한 열탈진으로 진단되었다. 검사 결과 급성 신손상과 고칼륨혈증도 함께 확인되었다.
온열질환이란 고온 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을 포함한 질병을 말한다. 매년 약 500~~800명 정도가 발생하며, 주로 5~9월(특히 폭염이 잦은 7~8월)에 옥외작업자 및 고온 환경 근로자(건설, 조경, 농림업 등)에게 자주 발생한다.
사업장은 작업 시작 전 체감온도 예보를 확인하고, 특히 체감온도가 31℃ 이상일 경우 다음 사항을 준비해야 한다.
① 그늘 확보
- 그늘막 또는 차광막(햇볕 완전 차단 재질)을 설치하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함.
- 의자, 돗자리, 음료수대 등 휴식 비품 비치
- 소음, 낙하물, 차량 통행 위험 없는 장소 선택, 가능하면 실내 휴게실 마련
② 음용수 제공
- 작업자들이 소량의 시원한 물을 규칙적으로 마시도록 충분히 준비함
③ 민감군 관리
- 온열질환 기왕력자, 만성질환자(고혈압, 당뇨, 신장질환 등), 고령자(65세 이상), 불침투성 작업복 착용자, 강도 높은 신체활동 근로자에 대한 관리 강화
온열질환 발생 시 질환 종류에 따른 증상과 현장 대응법은 다음과 같다.
① 열사병
- 주요증상 : 의식상실(또는 기절), 현기증, 두통, 경련 등의 전구증상, 뜨겁고 마른 피부, 체온 40℃ 이상
- 현장 대응 방법 : 즉시 119 신고 및 이송, 냉수 뿌리기, 선풍기, 얼음 마사지, 옷을 모두 벗김
② 열탈진
- 주요증상 : 두통, 구역감, 현기증, 무기력증, 갈증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③ 열경련
- 주요증상 : 수의근(의식적으로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근육)에 통증이 있는 경련 발생, 사지 동통, 발작적 경련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④ 열허탈
- 주요증상 : 전신권태, 탈진, 현기증, 의식상실(기절), 심박수 증가, 혈압 저하, 정상 체온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의식 없는 경우 의료기관 이송
⑤ 열피로
- 주요증상 : 구갈(목마름), 소변량 감소, 현기증, 사지의 감각이상, 보행곤란, 실신
- 현장 대응 방법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 물과 염분 보충*, 의식 없는 경우 의료기관 이송
⑥ 열발진
- 주요증상 : 땀띠, 붉은 구진
- 현장 대응 방법 : 발생부위 냉각, 세척 후 건조
온열질환 의심자 발생 시, 아래의 단계에 따라 신속 대응한다.
① 의식 없는 경우
- 의식 확인(불응, 정상적 대답 불능, 전신 통증 호소 등)
- 즉시 119 신고
- 시원한 곳으로 이동, 옷 벗기고 몸 식히기
- 의료기관 이송
② 의식 있는 경우
- 의식 여부 확인
- 시원한 곳으로 이동, 옷 벗기고 몸 식히기
- 물 섭취 가능 여부 확인
- 물 마실 수 있으면 물과 염분 보충 (불가능 시 의료기관 이송)
- 회복되면 1~2시간 휴식 후 업무 복귀 또는 업무 종료 (회복 못할 경우 의료기관 이송)
<참고문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열사병 등 온열질환 예방 지침(KOSHA GUIDE H-219-2022)
-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해 작업 시작 전 체감온도 예보 확인
- 31℃가 넘어가는 경우 그늘, 물, 민감군 확인 필요
- 열사병 발생 시 즉시 119 신고 및 이송
- 열탈진, 열경련, 열허탈, 열피로 발생 시 휴식 및 물과 염분 보충
- 열발진 발생 시 냉각 및 세척 후 건조
- 온열질환 의심자 발생 시 조치 이후 회복 못하는 경우에는 의료기관 이송
![]() |
주목할만한 직업병 사례중부 직업병 안심센터 2025년 8월 22일 |
여름철 옥외작업자에서 발생한 열경련
- 건설근로자에게 발생한 열경련
- 열경련은 수의근 경련, 사지 동통, 발작적 경련 증상 발생
- 열경련 발생 시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고, 물과 염분의 보충 필요
-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해 작업 시작 전 체감온도 예보 확인
- 31℃가 넘어가는 경우 그늘, 물, 민감군 확인 필요
- 열사병 발생 시 즉시 119 신고 및 이송
- 열탈진, 열경련, 열허탈, 열피로 발생 시 휴식 및 물과 염분 보충
- 열발진 발생 시 냉각 및 세척 후 건조
- 온열질환 의심자 발생 시 조치 이후 회복 못하는 경우에는 의료기관 이송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