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할만한 직업병 사례

도장업에서 발생한 작업악화성 천식 사례

작성자 정보

  • jb0842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도장업에서 발생한 작업악화성 천식 사례
  • 기존 천식 병력이 있는 경우 특정 물질에 의해 천식 악화

본문

20대 남성으로 자동차 휠 페인트 작업에 종사하는 분이다.
2024년 3월 12일에 방문한 알레르기내과에서는 자동차 휠 페인트 작업을 한 달 전부터 진행하고 있다고 진술하였고, 작업 후 증상이 심해지며 특히 밤에 심화된다고 하였다.
하루 한 갑 흡연자이다. 과거력 상 2019년 7월 12일에 천식 발작으로 응급실에 내원 및 4일간 입원 치료 이력 있었다. 응급실 내원 당시 흉부 불편감, 호흡곤란이 심해지는 양상이었다.

휠 페인트에는 다양한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데, 주요 구성 요소로는 안료, 레진, 그리고 유기용제가 있다. 안료는 색을 제공하며, 레진은 페인트가 표면에 달라붙도록 하는 바인더 역할을 하고, 유기용제는 페인트의 점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두께와 흐름을 가지도록 한다.

작업악화성 천식(work-exacerbated asthma, WEA)은 기존에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특정 작업 환경에서 노출되는 물질에 의해 천식 증상이 악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직업성 천식(Occupational Asthma, OA)과는 다르게, 기존 천식이 작업 환경에 의해 더 심해지는 경우에 해당된다. 휠 페인트에 포함된 유기용제는 호흡기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천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천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주요 물질로는 이소시아네이트류, 곡물 분진, 금속류, 반응성 염료, 그리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이 있으며, 이들은 호흡기에 자극을 주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유기용제는 페인트와 같은 화학 물질을 다루는 작업 환경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물질로,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호흡기 감작물질에 노출된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 작업장 내 호흡기 감작물질 파악
  ∙ 사업장에서 호흡기 감작물질을 사용하거나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공정이나 업무 확인

● 노출 가능성 평가 및 대체물질 확인
  ∙ 호흡기 감작물질이 작업장 대기 중에 존재할 가능성  평가
  ∙ 호흡기에 안전한 다른 대체물질이 있는지 확인
  ∙ 노출되는 근로자의 노출 농도, 기간, 빈도 등 조사
  ∙ 노출된 근로자의 증상 발생 시기를 확인하고 호흡기 증상 여부를 조사

● 호흡기 감작물질 발생원 관리
  ∙ 기존 감작물질을 안전하고 유해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
  ∙ 공정을 차단(밀폐)하고 국소배기장치를 설치
  ∙ 물질에 따른 호흡용 보호구를 지급하고 착용.
 
호흡용 보호구 선택 및 사용 방법은 호흡용 보호구의 사용지침(KOSHA CODE H-82-2015)을 참고하며, 대표적인 감작물질에 대한 호흡용 보호구는 표 확인

          호흡기 감작물질                                          호흡용 보호구
      이소시아네이트                                          송기마스크(supplied air)
      밀가루 또는 곡물분진                                  방진마스크(입자상물질)
      글루타르알데히드                                      겸용마스크(유기가스용+입자상물질)
      목재분진                                                    방진마스크(입자상물질)
      납땜용 플럭스(soldering flux)                  방진마스크(입자상물질)
      실험동물의 털                                            방진마스크(입자상물질)
      접착제 및 레진                                            송기마스크(supplied air)


● 근로자 건강 모니터링
∙ 호흡기(천식 및 비염) 증상 설문지나, 폐기능 검사, 유발 폐기능검사, 피부단자검사 등을 활용한 호흡기(천식 및 비염) 증상 확인
∙  작업 전, 작업 중 및 작업 종료 후 연속적으로 최대호기량측정(serial peak expiratory flow rate)

●특수건강진단
  ∙ 정기적인 특수건강진단 시행
  ∙ 직업성 천식으로 의심되는 근로자가 1인 이상 의심되는 경우, 건강진단(수시건강진단) 실시
 
● 근로자에 대한 교육
 ∙ 호흡기 감작물질에 대한 정보 및 건강 위해성
 ∙ 감작에 의한 증상, 초기 증상 발생 시 보고의 중요성, 적절한 보호조치의 사용, 환기 장치나 보호장치의 오작동 시 보고


<관련내용 출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호흡기 감작물질 노출근로자의 보건관리 지침(KOSHA GUIDE H-44-2021)
  • 호흡기 감작물질은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호흡을 통해 유입되어 비가역적인 면역반응을 유발함
  • 천식 악화 주요 물질로는 이소시아네이트류, 곡물 분진, 금속류, 반응성 염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이 있음
  • 호흡기 감작물질을 안전한 물질로 대체, 작업공정 밀폐, 물질에 따른 적절한 호흡용 보호구의 올바른 착용
  • 근로자 건강 모니터링 및 특수건강검진 실시

Card News    


중부 직업병 안심센터

주목할만한 직업병 사례

중부 직업병 안심센터     2024년 12월 4일
도장업에서 발생한 작업악화성 천식 사례
  • 도장업에서 발생한 작업악화성 천식 사례
  • 기존 천식 병력이 있는 경우 특정 물질에 의해 천식 악화
  • 호흡기 감작물질은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호흡을 통해 유입되어 비가역적인 면역반응을 유발함
  • 천식 악화 주요 물질로는 이소시아네이트류, 곡물 분진, 금속류, 반응성 염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이 있음
  • 호흡기 감작물질을 안전한 물질로 대체, 작업공정 밀폐, 물질에 따른 적절한 호흡용 보호구의 올바른 착용
  • 근로자 건강 모니터링 및 특수건강검진 실시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