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반도체 소재 사업장에서 발생한 4-브로모아닐린 급성 중독
작성자 정보
- 센터장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브로모아닐린(4-bromoaniline)을 패킹 작업 중 급성 중독 발생
- 메트헤모글로빈혈증 발생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
본문
새벽에 야간작업으로 4-브로모아닐린(4-bromoaniline)을 패킹하는 작업을 하던 40대 남성 근로자가 청색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여 응급실로 이송되었다. 메트헤모글로빈혈증으로 진단되어 해독제를 사용하는 치료를 받았고 이후 직업병 안심센터로 보고되어 직업성 급성 중독으로 인지된 사례이다.
해당 사업장에서 4-브로모아닐린을 취급할 때 방독면 등 보호구는 착용하였다고 하며 다른 방호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고 한다. 해당 근로자 이외에 3명이 동일 증상이 발생하여 다른 병원의 응급실로 이송되었고, 다른 지역 직업병 안심센터에서도 인지되었다.
4-브로모아닐린은 유기화합물로서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amino derivatives of benzene)로 분류할 수 있지만, 특수건강진단, 작업환경측정에 속하는 물질은 아니다.
그러나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는 국제노동기구(ILO) 직업병 목록에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비롯한 직업병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산업안전보건법 상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별도로 취급 시 허가가 필요한 물질인 벤지딘, 오르토-톨루이딘, 4-아미노비페닐 등이 모두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에 해당한다. 중대재해처벌법 상 메트헤모글로빈혈증에 대하여는 이산화질소가 유해인자로 명시되어 있다.
이산화질소가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일으키는 기전(니트렌 라디칼 발생)은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와 동일하다. 4-브로모아닐린도 마찬가지의 기전으로 건강 영향을 끼치며, 급성 중독이 발생하면 해당 사례와 같은 청색증을 동반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시작되며, 이외 두통, 오심, 구토, 전신 쇠약감 등 신경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노출의 정도가 더 심해지면 용혈성 빈혈과 황달을 유발하는 간독성까지 이를 수 있다.
해당 사례는 첨단 산업에서 화학 물질을 취급하다가 발생한 급성 중독으로,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에서는 다루지 않는 화학물질이 원인이었다. 직업의학적으로 사전에 검토할 수 있었다면 위험성을 경고할 수 있었고, 급성 중독의 결과로 근로자가 중증에 이를 수 있었으나 빠른 조치와 진단으로 회복이 가능했던 경우였다.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 직업병 안심센터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이유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해당 사업장에서 4-브로모아닐린을 취급할 때 방독면 등 보호구는 착용하였다고 하며 다른 방호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고 한다. 해당 근로자 이외에 3명이 동일 증상이 발생하여 다른 병원의 응급실로 이송되었고, 다른 지역 직업병 안심센터에서도 인지되었다.
4-브로모아닐린은 유기화합물로서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amino derivatives of benzene)로 분류할 수 있지만, 특수건강진단, 작업환경측정에 속하는 물질은 아니다.
그러나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는 국제노동기구(ILO) 직업병 목록에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비롯한 직업병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산업안전보건법 상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별도로 취급 시 허가가 필요한 물질인 벤지딘, 오르토-톨루이딘, 4-아미노비페닐 등이 모두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에 해당한다. 중대재해처벌법 상 메트헤모글로빈혈증에 대하여는 이산화질소가 유해인자로 명시되어 있다.
이산화질소가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일으키는 기전(니트렌 라디칼 발생)은 벤젠의 아미노 유도체와 동일하다. 4-브로모아닐린도 마찬가지의 기전으로 건강 영향을 끼치며, 급성 중독이 발생하면 해당 사례와 같은 청색증을 동반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시작되며, 이외 두통, 오심, 구토, 전신 쇠약감 등 신경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노출의 정도가 더 심해지면 용혈성 빈혈과 황달을 유발하는 간독성까지 이를 수 있다.
해당 사례는 첨단 산업에서 화학 물질을 취급하다가 발생한 급성 중독으로,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에서는 다루지 않는 화학물질이 원인이었다. 직업의학적으로 사전에 검토할 수 있었다면 위험성을 경고할 수 있었고, 급성 중독의 결과로 근로자가 중증에 이를 수 있었으나 빠른 조치와 진단으로 회복이 가능했던 경우였다.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 직업병 안심센터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이유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특수건강진단, 작업환경측정에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화학물질
- 직업병 안심센터의 빠르고 적극적인 역할로 사례를 인지함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