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작업 종사자에서 발생한 급성신부전
작성자 정보
- jb0842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0대 남성, 옥상 페인트 방수작업자
- 더운 실외 작업으로 인해 식은땀, 호흡곤란, 근육 경련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심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해 결국 급성 신부전으로 악화
본문
옥상 페인트 방수작업하는 40대 남성으로 평소에는 하지않던 실외작업을 오랜만에 작업하였다. 평소에는 실내작업을 주로 하였다고 한다. 옥상 페인트 방수작업을 하다가 식은땀, 호흡곤란 및 배와 다리에 쥐가 나서 119에 신고하였다. 119 도착전 몸에 물을 뿌려 식은땀, 호흡곤란 호전되었으나, 배와 다리의 쥐 증상은 남아 있어 119 통해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119 호송중에 쥐나는 증상 호전되는거 같아 진료 안볼려고 하였으나 119에서 내리던 중 쥐가 다시 나기 시작했다고 하며 이전에도 다리에 쥐난적 있으나 이렇게 오래간적은 없다고 진술하였다.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에서 급성 신부전 의심소견 확인되었고, 이에 대한 치료 후 퇴원하였다.
옥상 페인트 방수작업은 그늘이 없는 햇볕 아래에서 장시간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 스트레스 (Heat Stress)가 매우 높은 작업이다. 특히, 평소에 주로 실내작업을 하던 근로자가 갑자기 실외작업을 하게 되면 몸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 식은땀, 호흡곤란, 근육 경련은 모두 열탈진 (Heat Exhaustion) 또는 더 심각한 열사병 (Heat Stroke)의 경고 증상일 수 있다.
식은땀과 호흡곤란은 몸이 과열되었을 때 체온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몸에 물을 뿌려 체온을 낮추려는 노력은 적절한 조치였다고 할 수 있다.
배와 다리의 근육 경련 (Heat Cramps)은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해 수분과 염분이 급격히 손실되어 발생한다.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심해지면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게 되며, 근육 경련이 호전되었다가 다시 나타난 것은 전해질 및 수분 불균형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사례에서 가장 심각한 결과는 응급실에서 확인된 급성 신부전 소견으로, 심한 탈수가 오랜 시간 지속되면, 신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신장은 혈액을 걸러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면 이 기능이 떨어지면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이 근로자가 열사병이 진행되는 중이었다면, 극심한 열로 인해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결론적으로, 이 방수공은 실외작업에 대한 몸의 적응 부족 상태에서 고온 환경에 노출되어 심각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겪었고, 이것이 급성 신부전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예방 및 관리 대책
(1) 개인 보호 조치
옥외 고온 작업 시에는 햇빛을 반사하는 밝은 색상의 헐렁하고 통풍이 잘 되는 작업복을 착용하고, 열사병을 유발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작업 시간 동안 물통을 가까이 두고, 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규칙적으로 물이나 전해질 음료를 섭취한다. 특히 평소에 실내 작업만 하던 근로자는 더위에 점진적으로 적응 (열 순화)하는 기간을 가져야 하며, 초기에 작업 강도와 시간을 무리하게 늘려서는 안된다.
(2) 건강 모니터링 및 조기 진단
고온 작업 전에는 혈압, 심박수, 체온 등 기본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수면 부족, 과음, 감기 등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은 고강도 옥외 작업을 피해야 한다. 작업 중에는 동료 간에 서로의 증상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과도한 식은땀, 심한 근육 경련(쥐), 어지러움,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을 느낄 경우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응급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소변량 감소나 소변색이 짙어지는 증상은 급성 신부전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한다.
(3) 작업 환경 및 조건 개선
옥상 작업은 그늘이 없어 열 스트레스가 높으므로, 작업장 근처에 그늘막 또는 휴게실을 설치하여 시원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더운 시간대(통상 14~17시)에는 작업을 피하거나 강도를 낮춘다. 매시간 10~15분씩 규칙적으로 휴식할 수 있도록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휴식 시간에는 냉각 조끼나 찬물 샤워 등으로 체온을 적극적으로 낮추도록 노력한다. 작업자의 열 스트레스 위험 수준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거나 작업 자체를 중단하는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적용해야 한다.
옥상 방수작업과 같은 고온 환경의 옥외 작업은 열탈진, 열경련, 열사병은 물론 급성 신부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및 염분 보충, 규칙적인 휴식 공간 제공, 개인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 등 다각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철저히 이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옥상 페인트 방수작업은 그늘이 없는 햇볕 아래에서 장시간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 스트레스 (Heat Stress)가 매우 높은 작업이다. 특히, 평소에 주로 실내작업을 하던 근로자가 갑자기 실외작업을 하게 되면 몸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 식은땀, 호흡곤란, 근육 경련은 모두 열탈진 (Heat Exhaustion) 또는 더 심각한 열사병 (Heat Stroke)의 경고 증상일 수 있다.
식은땀과 호흡곤란은 몸이 과열되었을 때 체온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몸에 물을 뿌려 체온을 낮추려는 노력은 적절한 조치였다고 할 수 있다.
배와 다리의 근육 경련 (Heat Cramps)은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해 수분과 염분이 급격히 손실되어 발생한다.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심해지면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게 되며, 근육 경련이 호전되었다가 다시 나타난 것은 전해질 및 수분 불균형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사례에서 가장 심각한 결과는 응급실에서 확인된 급성 신부전 소견으로, 심한 탈수가 오랜 시간 지속되면, 신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신장은 혈액을 걸러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면 이 기능이 떨어지면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이 근로자가 열사병이 진행되는 중이었다면, 극심한 열로 인해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결론적으로, 이 방수공은 실외작업에 대한 몸의 적응 부족 상태에서 고온 환경에 노출되어 심각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겪었고, 이것이 급성 신부전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예방 및 관리 대책
(1) 개인 보호 조치
옥외 고온 작업 시에는 햇빛을 반사하는 밝은 색상의 헐렁하고 통풍이 잘 되는 작업복을 착용하고, 열사병을 유발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작업 시간 동안 물통을 가까이 두고, 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규칙적으로 물이나 전해질 음료를 섭취한다. 특히 평소에 실내 작업만 하던 근로자는 더위에 점진적으로 적응 (열 순화)하는 기간을 가져야 하며, 초기에 작업 강도와 시간을 무리하게 늘려서는 안된다.
(2) 건강 모니터링 및 조기 진단
고온 작업 전에는 혈압, 심박수, 체온 등 기본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수면 부족, 과음, 감기 등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은 고강도 옥외 작업을 피해야 한다. 작업 중에는 동료 간에 서로의 증상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과도한 식은땀, 심한 근육 경련(쥐), 어지러움,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을 느낄 경우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응급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소변량 감소나 소변색이 짙어지는 증상은 급성 신부전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한다.
(3) 작업 환경 및 조건 개선
옥상 작업은 그늘이 없어 열 스트레스가 높으므로, 작업장 근처에 그늘막 또는 휴게실을 설치하여 시원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더운 시간대(통상 14~17시)에는 작업을 피하거나 강도를 낮춘다. 매시간 10~15분씩 규칙적으로 휴식할 수 있도록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휴식 시간에는 냉각 조끼나 찬물 샤워 등으로 체온을 적극적으로 낮추도록 노력한다. 작업자의 열 스트레스 위험 수준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하거나 작업 자체를 중단하는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적용해야 한다.
옥상 방수작업과 같은 고온 환경의 옥외 작업은 열탈진, 열경련, 열사병은 물론 급성 신부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및 염분 보충, 규칙적인 휴식 공간 제공, 개인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 등 다각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철저히 이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고온 환경의 옥외 작업은 열탈진, 열경련, 열사병은 물론 급성 신부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
- 개인 보호 조치 - 통풍이 잘되는 작업복, 물 섭취, 열 순화 기간 필요
- 건강 모니터링 및 조기 진단 - 증상 확인, 증상 있을시 응급 조치, 의료기관 방문
- 작업 환경 및 조건 개선 - 쉴 공간 확보, 더운 시간대에는 작업을 피하기, 휴식시간 갖기
![]() |
주목할만한 직업병 사례중부 직업병 안심센터 2025년 10월 14일 |
방수작업 종사자에서 발생한 급성신부전
- 40대 남성, 옥상 페인트 방수작업자
- 더운 실외 작업으로 인해 식은땀, 호흡곤란, 근육 경련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심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해 결국 급성 신부전으로 악화
- 고온 환경의 옥외 작업은 열탈진, 열경련, 열사병은 물론 급성 신부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
- 개인 보호 조치 - 통풍이 잘되는 작업복, 물 섭취, 열 순화 기간 필요
- 건강 모니터링 및 조기 진단 - 증상 확인, 증상 있을시 응급 조치, 의료기관 방문
- 작업 환경 및 조건 개선 - 쉴 공간 확보, 더운 시간대에는 작업을 피하기, 휴식시간 갖기
관련자료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