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할만한 직업병 사례

그라비어 인쇄 종사자에서 발생한 독성 간염 사례

작성자 정보

  • 센터장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세 남성으로 열전사지 전문업체에 그라비아 인쇄 부서에서 일하며 인쇄 작업을 수행한 분의 사례이다.
특수건강진단 결과 AST 166 IU/L, ALT 155 IU/L, GGT 418 IU/L, 요중 o-크레졸 3.60 ㎎/g crea (BEI 노출기준 0.8 ㎎/g crea) 으로 확인되었다. 1개월 뒤 시행한 특수건강진단 2차 검사결과 AST 544 IU/L, ALT 327 IU/L, GGT 669 IU/L로 확인되었다. 해당 기관에서는 이 사례를 직업병 유소견자로 판정하고 직업병 안심센터에 보고하였다.
경기북부 직업병 안심센터에서 확인한 결과, 동일한 사업장에서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 4명이 요중 o-크레졸 상승 소견으로 직업병 요관찰자로 판정되어, 작업현장 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에 보고하였다.
직업병 안심센터 외래 진료를 시행하였다. 독성 간질환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입원을 통한 간 조직검사가 필요한데, 사례자가 산재 신청을 원하지 않았고 진찰 상 특이소견이 없어 조직검사를 실시하지는 않았다. 추적검사 상 GGT가 141 IU/L로 여전히 상승되어 있었으나 호전되었고, AST와 ALT를 포함한 다른 검사결과는 모두 정상범위로 확인되었다.
사례자의 경우 보호구 착용을 교육하였고, 동일한 작업자 중 톨루엔 과다노출된 동료 근로자는 경기동부 근로자건강센터와 연계하여 상담과 사후관리를 하도록 조치하였다.

톨루엔은 벤젠의 원료 또는 인쇄, 코팅, 합성 향료, 접착, 잉크, 세척 등에서 용제로 널리 사용된다. 또한 합성섬유,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제약, 염료, 네일 제품, 유기 화학 제품 합성 등에 역시 사용된다. 일터에서의 노출로는 인쇄, 도장 작업에서 많이 노출되는데, 주로 용제로 많이 사용된다.
톨루엔은 간에서 대사되지만, 주된 표적장기는 아니다. 중추신경계가 톨루엔 독성의 주요 표적 장기로 알려져 있다. 중추신경계 장애, 마취 등이 흔히 저농도~중등도 농도의 노출 이후 흔히 관찰되는 증상이다. 증상으로는 피로, 졸림, 두통, 구역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고농도 노출 시 중추신경계 억제 및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인쇄업 종사자에서 200ppm 이하의 톨루엔 노출 시 간 효소의 경미한 상승이 보고된 바 있고, Svensson 등의 연구에 따르면 톨루엔에 노출되는 그라비아 인쇄 작업자 47명에서 간 효소의 상승과 화학적 독성 간염 등을 보고한 바 있다.


Svensson BG, Nise G, Erfurth EM, Nilsson A, Skerfving S. Hormone status in occupational toluene exposure. Am J Ind Med. 1992;22:99–107. doi: 10.1002/ajim.4700220109.
중부 직업병 안심센터

주목할만한 직업병 사례

중부 직업병 안심센터     2025년 4월 3일
그라비어 인쇄 종사자에서 발생한 독성 간염 사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