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성 중독 분류
치과 종사자의 상세불명의 가스 노출
작성자 정보
- jb0842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인천 소재 치과에서 일하는 30대 여성이다.
2024년 2월 12일 17:30경 치과 소독실 내 연기가 자욱한 상태를 확인하였다.
대상자는 해당 공간을 약 1시간 동안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기에 지속적으로 1시간 이상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전일(2월 11일) 소독실 내 과산화수소(H₂O₂) 용액 유출이 발생하여 청소 여사님이 수건으로 용액을 닦은 후, 젖은 수건을 쓰레기통에 버린 상황이다.
이후 수건이 불에 타는 듯한 반응이 발생하면서 소독실 내부에 연기가 가득 찼으나 불꽃은 없었음을 보고했다.
병원 내원 후 혈액가스검사(ABGA) 및 산소포화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Volume %O₂(산소 용적비) 및 Total-Hb(총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 범위보다 낮게 확인되었으나, 일산화탄소 헤모글로빈(%CO-Hb)은 정상 범위 내 수치를 보인다.
이는 일산화탄소(CO) 중독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저산소혈증 보완을 위해 산소 공급을 받았으며, 혈액 내 헤모글로빈 수치 저하를 고려하여 수액 요법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해당 사례는 업무관련성이 확실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2024년 2월 12일 17:30경 치과 소독실 내 연기가 자욱한 상태를 확인하였다.
대상자는 해당 공간을 약 1시간 동안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기에 지속적으로 1시간 이상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전일(2월 11일) 소독실 내 과산화수소(H₂O₂) 용액 유출이 발생하여 청소 여사님이 수건으로 용액을 닦은 후, 젖은 수건을 쓰레기통에 버린 상황이다.
이후 수건이 불에 타는 듯한 반응이 발생하면서 소독실 내부에 연기가 가득 찼으나 불꽃은 없었음을 보고했다.
병원 내원 후 혈액가스검사(ABGA) 및 산소포화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Volume %O₂(산소 용적비) 및 Total-Hb(총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 범위보다 낮게 확인되었으나, 일산화탄소 헤모글로빈(%CO-Hb)은 정상 범위 내 수치를 보인다.
이는 일산화탄소(CO) 중독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저산소혈증 보완을 위해 산소 공급을 받았으며, 혈액 내 헤모글로빈 수치 저하를 고려하여 수액 요법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해당 사례는 업무관련성이 확실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